자세히 보기

Roger Grimes
Columnist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VPN ‘확산일로’··· 기업이 써도 될까? 선택법은?

뉴스
2017.10.2010분

VPN, 즉 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은 위험한 인터넷 환경에서 없어서는 안 될 네트워크의 보호막이다. 기업 등급 VPN은 인터넷의 역사만큼이나 오래 되었으며 관련 상품을 제공하는 벤더도 매우 많다. 대부분 어플라이언스, 게이트웨이, 방화벽, 집중기(concentrator), 서버 등 VPN 사용자들이 연결할 수 있는 중앙화 된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요즘은 클라우드를 이용해 소규모 비즈니스나 모바일 환경에서 분산화 된 VPN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 몇몇은 무료이기까지 하다. 이들 중 나에게 꼭 맞는 모바일 VPN 솔루션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각 기업의 상황마다 다를 수 있지만, 몇몇 조건이 적합하다면 의외로 쉽게 그런 솔루션을 찾게 될지도 모른다.

모바일 VPN의 작동 기제
모바일 VPN은 외부에 있는 노트북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기가 안전하게 암호화 된 상태에서 기업의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바일 VPN과 일반 VPN 모두 사용자가 연결할 수 있는 서버와 같은 장치가 있어야 한다. 단, 모바일 VPN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가 그 서버일 수 있다.

기존의 VPN은 사용자의 IP주소에 의존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그러나 모바일 VPN은 사용자 위치가 옮겨감에 따라 변화하는 IP 주소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모바일 VPN은 로지컬 IP 어드레스를 요하는 반면 일반적인 VPN은 고정 어드레스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로지컬 IP 어드레스란 각 기기에 묶여 있는 IP 어드레스를 말한다.

2017년 P&S의 시장 조사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모바일 VPN 시장은 해마다 21%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며 2022년이면 그 규모가 2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날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7개의 모바일 기업 VPN 벤더들(시스코, 콜럼비아테크, IBM, 넷모션, 라디오 IP, 스미스 마이크로, 그리고 테크스텝) 역시 혁신으로 무장한 신생 기업들이 등장함에 따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할 전망이다.
t
이러한 신생 기업들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기존 모바일 VPN 벤더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할 가능성이 높다. 주로 아래의 기업 등급 VPN 기능들 때문이다.

– 최대 수 만에서 수십 만 건에 이르는 동시 접속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확장성
– 멀티-팩터(multi-factor) 및 디지털 인증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증 타입 지원
– 조건부 액세스 정책
– 세분화된 환경 설정
– 기업 매니지먼트 콘솔 및 툴
– 다른 소프트웨어 및 기기와의 통합 (통합 위협 관리 시스템, 액세스 포인트, 방화벽 등)
–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하드웨어 크립토(crypto) 오프로딩
– 안정성이 증명된 트랙 레코드

그러나 대부분 기기가 VPN 지원을 내장하고 있고 기업 등급 모바일 VPN이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무기로 앞세운 신생 기업들이 앞다투어 시장에 진출하는 상황에서 모바일 보안 관리자들 역시 전통적인 VPN만을 고집하지 않고 새로운, 때로는 낯설게 느껴지는 VPN 솔루션을 시도하기 시작하고 있다.

재평가 받는 익명성의 가치
VPN솔루션들 중에는 기존의 솔루션들과 크게 차별화되지 않는 기능들만 가지고 있으면서도 광고를 보는 조건으로 무료로 제공되는, 잘 알려지지 않은 솔루션들도 있다.

그러나 NordVPN이나 HideMyAss 등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들도 적지 않다. 특히 익명성의 강화를 강조하는 솔루션이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 익명성은 단순히 프라이버시에 집착하는 사람들이나 신경 쓰는 기능으로 여겨졌지만, 산업 스파잉 사건이나 정부의 인터넷 사찰 이슈 등이 불거지면서 익명성 기능에 주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구글은 2017년 상반기에만 이와 관련하여 약 8만 3,000 건의 법적 정보 공개 요청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VPN의 익명성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진짜 IP 어드레스와 메타데이터 정보를 블로킹 하거나, 사용된 IP 주소를 랜덤화 할 수 있다. 아니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아예 로깅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설령 정부 기관에서 수색 영장을 가지고 VPN 제공자를 찾아 가더라도 넘겨줄 수 있는 정보 자체가 없어진다.

그러나 익명성을 원하는 사용자라 해도 완벽한 익명성을 보장받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과거 많은 이들이 법을 어기고 나서 너무 늦게 이 사실을 깨달았다.

정부 당국에서는 보통 VPN 벤더의 커넥션 기록을 요구하는데, 설령 VPN 서비스가 사용자의 신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고 해도 사용자의 다른 소프트웨어 및 환경설정 셋팅 등이 그 사람의 신원에 대한 정보를 우회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즉 VPN 벤더들의 마케팅에도 불구하고 VPN이 신원 정보를 100% 숨겨 주는 장치는 될 수 없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우려 때문인지, 혹은 보안 문제 때문인지는 알 수 없어도, VPN 시장은 현재 전례 없는 수요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NordVPN의 CMO 마티 P. 캠든은 “현재 시장은 인터넷 프라이버시와 보안에 대한 뚜렷한 수요 증가를 보이고 있다. 새로운 정부 규제 정책 및 감시, 그리고 해킹 기술의 발달로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VPN 솔루션을 찾고 있다. 지난 한 해에만 미국과 영국 모두에서 VPN 이용자 수가 3배 가까이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모바일 VPN, 과연 안전할까?
시장에는 수 많은 모바일 VPN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사용자가 중앙화 된 VPN 집중기가 아니라 VPN 벤더의 클라우드와 연결되고 그를 통해 회사의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게 된다는 점이다. 때문에 벤더들은 보통 전 세계에 수백, 수천 개의 서버를 두고 있으며 수십 만 개의 IP 주소를 보유하고 있음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그런데 문제는 이것이다. 과연 기업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장비와 네트워크에 안심하고 데이터와 보안을 맡길 수 있을까? 오늘날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예전보다는 훨씬 더 이 질문에 답하기가 쉬워 진 것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새로운 기술인 모바일 VPN 솔루션을 이용할 생각이라면 모바일 VPN 벤더가 정말로 광고하는 것만큼의 보안 수준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혹시 과장 광고는 아닌지 등을 철저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겠다.

요금제 기반의 모바일 VPN 서비스
요즘 새로 나온 모바일 VPN 솔루션들은 보통 월별, 사용자별 요금제로 운영된다. VyprVPN이나 SaferVPN이 그 예이다. 요금은 사용자당 한 달에 1달러 미만인 서비스에서부터 수 달러 가량 하는 서비스까지 다양하다. 아예 처음 서비스를 구매할 때 1년 단위로 등록을 요구하는 솔루션도 물론 적지 않다.

VyprVPN은 카멜레온(Chameleon) 이라는 독자적 기술을 사용한 안티-VPN 블로킹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 테크놀로지는 중국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골든 프로그(Golden Frog)의 대표 선데이 요쿠베티스는 VyprVPN의 기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카멜레온은 오픈 VPN 패킷 메타 데이터를 교란하여 빠르고 가벼우면서도 심층 패킷 분석(DPI, deep packet inspection)을 통한 인식이 불가능한 VPN 솔루션을 제공한다. 카멜레온 테크놀로지는 기저의 데이터 암호화를 위하여 비수정 OpenVPN 256-비트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그 결과 VyprVPN 사용자들은 중국의 만리장성 방화벽(Great Firewall)을 우회하여 잘 알려진 OpenVPN의 보안을 포기하지 않고도 오픈 된 인터넷 경험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국 고객들은 카멜레온 VPN을 통해 일체의 정부 검열 없는 100% 오픈 된 인터넷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VyprVPN은 또한 자사가 경쟁 기업들과 달리 외부 조직의 도움을 전혀 받지 않고 100% 자체적으로 장비를 관리한다는 사실을 자랑한다. 때문에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VyprVPN이 경쟁 기업들보다 자산을 훨씬 효율적으로 통제, 관리한다고 할 수 있다.

SaferVPN 역시 고도의 안정성을 자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전하지 않은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 SaferVPN이 자동으로 개입하는 기능이 있다. SaferVPN은 또 VPN 벤더들 중에서는 드물게 24시간 기술 지원팀을 운영한다. 이 밖에 레거시 프로토콜과 신형 프로토콜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SaferVPN은 고객들이 가능한 한 OpenVPN을 이용할 것을 추천한다. 회사 측은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OpenVPN 프로토콜을 추천한다. 이 프로토콜은 우리의 VPN 서비스가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가장 높은 단계의 보안 수준으로 가장 빠른 최상의 퍼포먼스를 약속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고객의 선택의 자유도 존중한다. 때문에 OpenVPN, L2TP over IPSec, PPTP, 그리고 IKeV2 프로토콜 중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당 요금을 받는 VPN 서비스는 보통 전 세계적 규모와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장, 퍼포먼스, 플랫폼 지원, 그리고 사용의 용이성 등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이들 대부분은 단일 사용자가 동일한 라이선스 하에 4~6대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솔루션을 구입하기 전 최대 몇 개의 기기까지 연결할 수 있고 단일 사용자 라이선스 하의 이용 조건은 어떤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최대 연결가능 기기 수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사용자와 라이선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서비스가 있는 반면 말 그대로 단일 사용자에게만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곳도 있기 때문이다.

무료 모바일 VPN 서비스
가장 인기 있는 무료 모바일 VPN은 아마도 OpenVPN일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 OpenVPN은 GNU 일반 공용-라이선스 오픈소스 솔루션으로 안정적인 퍼포먼스와 보안 수준 덕분에 널리 사랑 받고 있다. OpenSSL, TLS, 그리고 HTTPS를 사용하며 그 밖에도 부가적인 커스텀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윈도우, 맥, 안드로이드, 그리고 일부 와이파이 라우터에서도 구동된다.

핫스팟 실드(Hotspot Shield)나 터널베어(TunnelBear)같은 무료 VPN 앱들은 광고를 게재하고, 동시에 데이터 상한을 제한함으로써 수익을 낸다. 핫스팟 쉴드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현재 5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 중 절대 다수가 광고가 딸린 무료 버전을 이용하고 있다.

이 광고를 없애고 싶으면 유료 버전으로 넘어갈 수 있다. 예전에는 이처럼 광고를 통해 수익을 내는 VPN 서비스가 많았지만 지금은 많이 사라진 상태다. 터널베어는 무료로 최대 500MB까지의 데이터를 보호해 주며 그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면 월 4.99 달러에서 9.99 달러의 유료 버전을 이용해야 한다. 참고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무료 버전이 존재하는 VPN 서비스들의 경우 유료 버전의 이용료가 월 요금제 기반의 서비스들보다 훨씬 비싼 편이다.

모바일 VPN과 BYOD
비 기업 등급(non-enterprise class) 모바일 VPN이 기업 환경에서 차지하는 역할도 확실히 커지고 있다. 여기에서 다룬 모바일 VPN 선택지의 대부분은 대부분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업들 중 상당수가 값비싼 VPN 집중 장치를 구매 및 관리할 여력이 없거나, 혹은 그럴 의사가 없는 경우가 많다.

BYOD가 일상이 된 오늘날 기업 환경에서, 기업 LAN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VPN을 요구하는 보안 관리자들은 많지만 이들도 특정 VPN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 어떤 기업들은 이용 가능한 VPN 목록을 만들어 공개 함으로써 기업에서 승인 받은 VPN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프라이버시나 보안 문제에 관심이 많은 직원들일수록 ‘always-on’ 모바일 VPN을 설치하여 기업에서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자체적으로 VPN과 인터랙션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꽤 중요한 사실이다. 모바일 VPN은 기업 네트워크와 비 기업 네트워크 간에 똑같은 보호가 적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둘을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신뢰할 수 있는 직원이 모바일 VPN을 통해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 하는 것과 악의를 가진 침입자가 접속하는 것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접속자의 신원 파악이나 추적을 목표로 한다면 최초 IP 주소와 메타데이터 정보가 그다지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라는 것이다.

모바일 VPN,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사실, 비 기업 등급 VPN이 ‘비 기업 등급’인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 고유의 특성과 문제점들 때문이다. 기업들도 최소한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는 VPN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또 타사가 직원의 VPN 접속과 경험을 통제해도 괜찮은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일부 모바일 VPN은 전혀 보안을 제공하지 않거나, 심지어는 고의적으로, 조용히 사용자의 데이터를 가로채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283개의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VPN을 분석한 U.C. 버클리의 한 백서에 따르면 많은 VPN 솔루션들이 그 어떤 보안이나 보호 기능도 제공하지 않았다. 이들 중 약 75%가 서드 파티 트래킹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으며 38%는 맬웨어를 포함하고 있었고 18%는 심지어 트래픽 암호화조차 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모바일 VPN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벤더인지, 그리고 벤더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음을 알려준다. 온라인에 소개된 몇 가지 마케팅 문구만 보고 그 제품을 믿을 수 있는지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 밖에 VPN 솔루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이 솔루션이 기업의 데이터 처리 수준을 감당할 정도의 확장성을 제공하는가?
– 이 VPN 벤더가 기업 매니지먼트 툴이나 콘솔을 제공하는가? 그러한 툴이나 콘솔이 필요한가?
– 모바일 VPN 사용이 기존의 보안 모니터링 및 트래킹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 이 VPN은 어떤 플랫폼을 지원하는가? 어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가? (OpenVPN, L2TP, IPSEC, SSTP, PPTP 등)
– 멀티 팩터 인증 등 우리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증 방식 옵션을 제공하는가?
– 광고가 게재되는 솔루션을 이용해도 괜찮은가?
–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정도의 세분화 된 환경 설정을 제공하는가?
– 벤더의 테크놀로지 지원 정책은 어떠한가?

기업 등급 모바일 VPN 솔루션의 경우에도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각 솔루션마다 다르다. 이들은 각자 오랜 시간 동안 시장의 검증을 받아 온 솔루션들로 각기 다른 인증 방식과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VPN, 과연 옳은 선택일까?
기업 모바일 관리자라면 누구나 비 기업 등급 모바일 VPN의 성장을 눈 여겨 봐야 한다. 이러한 변화가 기업의 네트워크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고민해야 함은 물론이다. 모바일 VPN은 분명 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을 기업의 환경에 맞게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dl-ciokorea@foundryco.com

Roger Grimes

Roger A. Grimes is a contributing editor. Roger holds more than 40 computer certifications and has authored ten books on computer security. He has been fighting malware and malicious hackers since 1987, beginning with disassembling early DOS viruses. He specializes in protecting host computers from hackers and malware, and consults to companies from the Fortune 100 to small businesses. A frequent industry speaker and educator, Roger currently works for KnowBe4 as the Data-Driven Defense Evangelist and is the author of Cryptography Apocalypse.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