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잠재력이 어마어마하다. 하지만 미성숙하고 위험한 측면도 가진다. 기술 분야의 리더들이 생성형 AI의 활용 영역과 과제를 분주하게 탐구하는 이유다
머신러닝 모니터링 스타트업 아서(Arthur)가 생성형 AI 모델을 비교해주는 ‘아서 벤치(Arthur Bench)’를 오픈소스 형태로 17일 공개했다.
기업이 검토할 가치가 충분한 생성형 AI 모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시장 동향과 기업들의 움직임,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직원들의 사무실 복귀를 원하는 기업이 점점 늘고 있다. 코로나19 기간 유행했던 원격 근무 프로세스가 궁극적으로 실패했다는 의미로 들리기도 한다. 원격 근무 문제의 해결책은, 직원의
미 언론사 AP가 내부 직원을 위한 생성형 AI 사용 가이드라인을 16일 공개했다. 생성형 AI 도구에서 나온 콘텐츠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로 봐야 한다는 것, 그리고 영상·이미지&m
생성형 AI의 인기로 AI 기능을 지원하는 로우코드·노코드 도구 및 RPA 플랫폼이 늘어나고 있다. 로우코드·노코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다음 7가지 도구를 살펴보자.
직원 네 명 중 한 명이 신뢰받지 못한다고 느낀다. 다른 한 편에선 기업들이 AI를 탐색하고 있다. 직원들로서는 AI에 의해 밀려날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가질 만한 셈이다.
오픈AI가 GPT-4를 콘텐츠 조정 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의도치 않은 편견을 해결하려면 사람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생성형 AI가 거의 모든 산업 영역과 업무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기대 이상의 놀라운 능력에 일단 흥행에는 성공했다. 이제는 그 능력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최대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시스템 중 어느 쪽에 AI를 배치할지는 간단한 결정처럼 보이지만, 생각보다 복잡하고 자칫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