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라마 2(Llama 2)’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AI 그룹이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다. 매개변수 규모에 따라 70억 개, 130억 개, 700억 개의 매개변수로 사전 학습 및 미세 조정된 3가
생성형 AI는 이미 여러 유즈 케이스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생성형 AI에게 더 기술적인 지침을 요청할 때는 어떻게 작동할까?
AI와 LLM을 배우거나 테스트하고 있는가? 특히 코드 작성에 사용할 때는 회의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가 있다.
B2B AI 글쓰기 도구를 개발하는 미국 스타트업 라이터(Writer)가 시리즈 B 규모의 1억 달러(약 1,300억 원) 자금을 유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생성형 AI 이미지 생성 모델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스테이빌리티AI가 이번에 오디오 전문 AI 기술을 13일 공개했다. ‘스테이블 오디오(Stable Audio)&
젯브레인이 ‘러스트로버(RustRover)’라는 러스트 언어 전용 IDE를 출시했다. 개발자는 러스트로버로 러스트 개발에 특화된 코드 작성, 테스트, 실행, 디버깅,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비즈니스에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위해 개발자를 후원하는 것만으로는 이제 부족하다. 개발자를 후원하는 기업을 후원함으로써 전체 생태계가 번창하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다.
자바 개발진이 머신러닝 모델, GPU, SQL, 미분가능 프로그래밍(Differentiable programming) 등 외부 프로그래밍 모델 지원을 위한 기술 연구에 착수했다. 프로젝트명은 ‘바빌론(Babylon)’이다.
개인용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이라면 이른바 ‘취향’이 있기 마련이다. 수십 년 동안 컴퓨터로 만져온 이라면 더욱 그렇다. 간단하게는 워드 프로세서
EDB가 새로운 오픈소스 배포 및 관리 자동화 도구인 TPA(Trusted Postgres Architect)를 모든 포스트그레SQL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고 11일 발표했다.